
딥시크의 국내 사용자 정보가 흘러 들어간 것으로 확인된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공유 애플리케이션 틱톡이 갖은 잡음에도 국내에서 빠르게 입지를 굳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9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틱톡과 틱톡라이트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각각 489만 8,510명, 479만 1,235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를 합치면 페이스북 MAU(861만 8065명)를 넘어서는 수치입니다.
2,000만 명을 넘어선 인스타그램에는 이르지 못하더라도 앱의 특성상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점을 감안하면 영향력은 더 클 수 있습니다.
틱톡은 지난 2023년 12월 파격적인 보상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틱톡 라이트를 한국 시장에 공식 출시한 이후 빠르게 시장을 파고들어 왔습니다.
중국 정부로의 사용자 정보 유출 우려 및 틱톡 라이트의 중독성 위험 등 지난해부터 연이어 터져 나온 경고음에도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는 상황입니다.
특히 지난해 하반기 들어 틱톡라이트 MAU가 안정적으로 400만 명을 넘어선 이후 틱톡과 합치면 페이스북을 일찌감치 추월하며 상승세를 보여 왔습니다.
이달 들어서도 첫째 주(3~9일) 주간 활성 이용자 수가 틱톡의 경우 326만 8,409명, 틱톡라이트는 358만 5,001명으로 300만 명을 넘는 안정적 추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앞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8일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에 이용자 관련 데이터를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국내 개인정보보호법 위배를 이유로 신규다운로드 서비스 잠정 중단을 결정했습니다.
개보위는 다만 이렇게 흘러 들어간 국내 사용자들의 정보가 어떻게 사용됐는지는 확인하지 못했다고 설명한 상황입니다.
바이트댄스 등 중국계 정보기업(IT)들의 사용자 정보 보안 문제는 사실 서구를 중심으로 지속적 우려가 제기된 사안입니다.
특히 미국 등에서는 이렇게 수집한 정보가 결국 중국 정부에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을 우려, 국가 안보 차원에서 해당 문제에 접근합니다.
미국에서는 지난해 틱톡이 수집한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에 흘러 들어갈 가능성을 우려, 바이트댄스가 270일 안에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를 금지하는 법안이 처리된 바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당일인 지난달 20일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 매각에 무게를 싣고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