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계 지출의 주요 항목 중 하나인 교육 물가가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3월 교육 물가(지출 목적별 분류)는 1년 전보다 2.9% 상승했습니다.
금융위기 시절인 2009년 2월 4.8% 이후 16년 1개월 만에 최대 폭입니다.
교육 물가는 전체 소비자물가를 0.21%포인트(p)를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습니다.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입니다.
교육 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사립대를 중심으로 한 등록금 인상입니다.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에 따르면 지난 2월 20일 기준 4년제 사립대 151곳 중 79.5%인 120곳이 등록금을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국공립대 39곳 중 28.2%인 11곳도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3월 물가지수에서 사립 대납 입금은 1년 전보다 5.2% 올라 2009년 2월 7.1%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지역별로 부산·울산·경남이 5.6%로 가장 높았고, 서울·인천·경기(5.5%)가 뒤를 이었습니다.
제주(0.1%)가 상승률이 가장 낮았고 전남·전북·광주(3.7%)가 그다음이었습니다.
국공립대납입금은 1.0% 올라 2022년 2월(2.1%) 이후 3년 1개월 만에 상승 폭이 가장 컸습니다.
국공립대납입금은 2022년 3월부터 올해 2월까지 36개월 동안 상승률이 0%였다가 지난달 처음 올랐습니다.
대학교 등록금 인상으로 다른 교육 물가도 덩달아 올랐습니다.
유치원 납입금 상승률은 4.3%로 2016년 2월 8.4% 상승 이후 9년 1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이었습니다.
유치원 납입금 물가는 2020년 5월부터 58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하락했지만, 지난달 상승 전환했습니다.
유치원 납입금은 지역별로 학비 지원 정책 차이 등에 따른 편차가 컸는데, 전남(24.3%), 강원(15.7%), 부산(14.7%), 경북(12.1%), 서울(5.0%) 등에서 크게 상승했습니다.
반면 사립유치원 무상 정책 영향으로 울산 유치원 납입금 물가는 작년 대비 74.3%나 하락했습니다.
충북(-5.7%), 광주(-0.4%)에서도 내렸고 세종·충남·전북은 상승률이 0%였습니다.
댓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