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여 년간 왕실 의례문화 담겨
근대 서예가 오세창 서첩 '근묵'
조선시대 불화·불상 2건도 지정
근대 서예가 오세창 서첩 '근묵'
조선시대 불화·불상 2건도 지정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종묘 신실에 봉안되어 전승된 '조선왕조 어보ㆍ어책ㆍ교명(朝鮮王朝 御寶.御冊.敎命)'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했습니다.
또 '근묵(槿墨)', '아미타여래구존도(阿彌陀如來九尊圖)',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順天 桐華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등 서첩 및 조선시대 불화, 불상 등도 보물로 지정하였습니다.
보물 '조선왕조 어보ㆍ어책ㆍ교명'은 조선이 건국한 1392년부터 대한제국을 선포한 1897년 이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1910년까지 조선왕조의 의례에 사용된 인장과 문서입니다.
어보ㆍ어책ㆍ교명은 해당 인물 생전에는 궁궐에 보관하였고, 사후에는 신주와 함께 종묘에 모셔져 관리되었습니다.
어보란 국왕ㆍ왕세자ㆍ왕세제ㆍ왕세손과 그 배우자를 해당 지위에 임명하는 책봉 때나 국왕ㆍ왕비ㆍ상왕(上王)ㆍ왕대비ㆍ대왕대비 등에게 존호(尊號), 시호(諡號), 묘호(廟號), 휘호(徽號) 등을 올릴 때 제작한 의례용 인장입니다.
어책은 어보와 함께 내려지는 것으로 의례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의미, 내용을 기록한 것입니다.
신분과 재질에 따라 어보는 금보(金寶)ㆍ옥보(玉寶)ㆍ은인(銀印) 등으로, 어책은 옥책(玉冊)ㆍ죽책(竹冊)ㆍ금책(金冊)으로 구별하였습니다.
교명은 왕비ㆍ왕세자ㆍ왕세자빈ㆍ왕세제ㆍ왕세제빈ㆍ왕세손ㆍ왕세손빈 등을 책봉할 때 내리는 훈유문서(訓諭文書)로 그 지위의 존귀함을 강조하며, 책임을 다할 것을 훈계하고 깨우쳐주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조선왕조 어보ㆍ어책ㆍ교명'은 종묘의 신실(神室)에 봉안되어 전승되었고, 조선왕실의 종묘는 정전(正殿) 19실과 영녕전(永寧殿) 16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신실의 중앙에는 신주장(神主欌)을 두어 신주를 봉안하고 양쪽으로 보장(寶欌)과 책장(冊欌)을 두어 어보ㆍ어책ㆍ교명 등을 봉안하였습니다.
'조선왕조 어보ㆍ어책ㆍ교명'은 어보 318과, 어책 290첩, 교명 29축 총 637점입니다.
'근묵'은 근대의 저명한 서예가이자 서화 감식가였던 오세창(吳世昌, 1864~1953)이 1943년 80세의 나이에 엮은 서첩입니다.
가문의 8대에 걸친 수집품의 토대 위에 오세창의 감식안이 더해진 결과물입니다.
정몽주(鄭夢周, 1337~1392)에서 이도영(李道榮, 1884~1933)에 이르기까지 약 600여 년에 걸친 1,136명의 필적 등 국내 최대 분량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첩장본(帖裝本)의 서첩 34책과 선장본(線裝本)의 목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서첩 34책은 필적의 크기에 따라 양면 또는 단면에 1점씩 수록하였고, 오른쪽 첨지(添紙)에는 이를 쓴 사람의 이름, 생몰연대 등을 적어 놓았습니다.
서첩 제1책의 표지에는 전서(篆書)로 쓴 '근묵(槿墨)'이라는 제목에 '팔십 위(八十葦)'라는 문구가 쓰여 있으며 목록 1책에는 글씨를 쓴 사람의 성명(姓名)ㆍ자호(字號)ㆍ향관(鄕貫)ㆍ시대(時代)ㆍ직업(職業)ㆍ계통(係統) 등을 기록하였습니다.
'아미타여래구존도'는 1565년(명종 20)이라는 제작연대가 정확한 조선 전기 불화로, 화기에 조성연대와 화제, 시주질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조선 전기에 그려진 아미타여래구존도는 6점이 현존하는데, 국내에 있는 작품 중 유일하게 제작연도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채색 불화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삼베 바탕에 주존(主尊)인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음보살, 지장보살을 비롯한 팔대보살이 좌우 대칭된 모습으로 표현되는 고려 후기 불화의 요소가 남아 있습니다.
동시에 주존을 중심으로 보살을 에워싸는 배치, 여래와 보살의 형상과 묘사, 필선의 사용과 문양을 배제한 색 중심의 채색법에는 조선 전기 불화의 새로운 요소, 특히 16세기 불화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습니다.
또한 본존의 머리와 몸을 둘러싼 원형 광배 형식, 둥글고 넓적한 육계와 반달형 중간계주의 표현, 문양이 생략된 채색 등 조선 전기 불화 양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순천 동화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수조각승 계찬(戒贊)을 비롯해 인계(印戒), 영언(靈彦) 등 7명의 조각승들이 1657년(효종 8) 완성해 동화사 대웅전에 봉안한 삼불상입니다.
세 불상의 복장에서 각각 발견된 조성 발원문을 통해 조성연대, 제작자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불상 제작에 필요한 상세한 시주물목이 기록되어 있어 조각승 간의 협업과 분업, 불상 제작에 필요한 물목과 공정을 이해하는 데 많은 참고가 된다는 점에서 큰 학술적 가치를 지닙니다.
또한 조성 발원문 외에 각 불상의 대좌(臺座) 상판에도 대동소이한 조성기가 묵서로 기록되어 있어 조성기 내용과 교차 검토가 가능하다는 점도 중요한 특징으로 평가됩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4-11-15 06:54
담당 사건 피의자 母에게 성관계 요구한 경찰, 2심서 감형
2024-11-14 23:08
'SNS에 마약 자수' 김나정, 필로폰 양성 반응..경찰 조사
2024-11-14 22:55
임플란트 시술 중 장비 목에 걸린 70대..부산서 제주로 이송
2024-11-14 22:18
농로에서 숨진 채 발견된 50대 남녀..여성은 흉기에 찔려
2024-11-14 20:21
음주 단속 피하려다 기찻길 내달린 만취 운전자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