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으로 지진 발생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됐던 전북 부안에서 규모 4.8의 지진이 발생한 이후 지진 위험도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지만, 디지털화된 공식 지도는 없는 실정입니다.
정부는 2017년 시작된 단층 연구 2단계가 마무리되는 2026년 이후 지도 제작을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
1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현재 지진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공식 지도는 2013년 공표된 '국가지진위험지도'뿐입니다.
이 지도는 과거 지진 자료와 기록을 통해 지역별로 지진이 얼마나 자주 일어났는지 등고선 형태로 나타낸 것으로, 지진 위험도 등을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또 내진 설계 기준으로 삼기 위해 지진 위험도 계수를 지역과 재현주기별로 설정했지만, 10년이 넘게 갱신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국내 활성 단층을 파악하기 위해 2017년부터 한반도 단층구조선 조사에 들어갔습니다.
행안부, 기상청 등 5개 중심으로 진행되는 이번 조사는 1단계로 영남권에 대한 조사를 마쳤고, 현재 2단계로 수도권과 충청권에 대한 조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행안부는 2단계 조사가 마무리되는 2026년 이후에야 가칭 '지진위험지도'를 작성할 수 있는 데이터가 쌓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행안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는 활성단층에 대해 정부와 학계가 인정하는 공식 자료로서 '국가지진위험지도'의 갱신 여부를 판단하는 등 각종 지진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KWANGJU BROADCASTING COMPANY. all rights reserved.
랭킹뉴스
2024-11-16 07:18
'중학생 때 후배 다치게 했는데'..성인 돼 처벌받아
2024-11-15 22:27
야탑역 흉기 난동 예고 20대 "사이트 홍보 목적"..구속영장은 기각
2024-11-15 21:24
'불편한 동거 계속'..위기학생에 촘촘한 케어를
2024-11-15 21:20
이재명 선거법 1심 집행유예.."수긍 어려워"vs "당연한 진리"
2024-11-15 21:19
발암물질 '폐아스콘 순환골재' 불법 사용.."한화, 잘못 시인"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