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서 10월 4일 금요일 아침신문 살펴보겠습니다.
1. 먼저 한겨렙니다.
'부양의무자'의 능력이 있고 없고를 떠나, '간주부양비'를 매겨 수급자의 생계 급여를 깎고 있는데요.
부양의무자가 부양을 거부하는 상황에서 생계 급여를 받으려면 '가족관계 해체 사유서'를 내야하는 등 수급자들은 지나치게 많은 부담을 져야 합니다.
한 관계자는 간주부양비 때문에 생계 급여가 깎이는 가구의 절반 이상이 실제 부양의무자에게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현행법의 사각지대를 지적했습니다.
2. 경향신문입니다.
매일 마주하면서도 제대로 알지 못했던 아파트 노동자들의 일과 애환을 다룬 인포그래픽 기삽니다.
2017년 기준, 아파트 경비노동자의 숫자는 16만 명으로, 하루 평균 노동시간은 16시간이 넘었고, 간접고용 형태가 대부분이었습니다.
전기와 수도 난방 등 전반적인 아파트 시설 업무를 점검하는 시설노동자는 하루 평균 14시간의 노동시간을 기록했고요.
이밖에 관리사무소장과 청소노동자, 가정어린이집 교사 등 평소 인지하지 못하지만, 없어지면 불편한 이들의 숨은 노동이야말로 아파트를 '안락한 집'으로 존재하게 하는 원동력이라고 신문은 강조했습니다.
3. 동아일봅니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상도역에 조성된 메트로팜에 대한 기삽니다.
메트로팜은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가 추진하는 도시형 스마트팜 가운데 하난데요.
기존 스마트팜과 달리 지하에 설치돼 있어 온도 변화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울시는 스마트팜으로 대표되는 미래 농업을 시민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알리기 위해 을지로3가역 등 5개 지하철역에 메트로팜을 추가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4. 이어서 광주·전남권 신문 보겠습니다.
광주매일신문입니다.
친환경 차 선도도시 선점을 위해 노력해 오고 있는 광주시가 정작 시청사 내 전기차 충전소 사용 시간을 제한해 논란을 빚고 있습니다.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2013년부터 현재까지 총 2천 30대의 전기차가 보급됐고, 충전기는 천5백71기가 설치돼 있는데요.
문제는 공공기관 주차장에 함께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가 주차관리 시스템에 의해 사용시간이 한정돼 있다는 겁니다.
광주시는 민원 업무와 무관한 일반 차량들이 주차난을 일으켜 취한 조치라며, 앞으로 주차 관제시스템을 개선해 전기차만 차량 등록을 허용하는 방법을 강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5. 끝으로 전남일봅니다.
시민 귀갓길 책임지는 대리기사가 대리업체의 횡포에 고통 받고 있다는 기삽니다.
대리기사는 소속 대리업체를 두고, 타 업체엔 부수적으로 가입해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콜을 수행하는데요.
프로그램 사용률 상위권에 있는 업체들이 담합이라도 한 듯, 올해 사용료를 지난해에 비해 두 배 이상 올려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의한 자동배차를 취소할 경우 벌금도 물리고 있는데요.
자사 가입 기사에겐 벌금을 면해주는 불공정 정황도 포착됐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대리업체 횡포에 대해 시정명령을 여러 차례 내렸지만, 강제성이 약해 개선의 효과는 보이지 않는다고 신문은 전했습니다.
지금까지 아침신문 살펴봤습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