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44주년 기념식서 류동운, 박금희 열사 '재조명'

작성 : 2024-05-18 13:58:01
▲ 국립 5·18민주묘지에 안장된 류동운(왼쪽)·박금희 열사 [연합뉴스]

전라남도에서 끝까지 저항하다가 산화한 대학생과 부상자들에게 헌혈을 하고 귀가하던 길에 총탄에 맞고 희생된 여고생.

18일 5·18 민주화운동 제44주년 기념식에서 류동운·박금희 열사의 사연이 기념공원을 통해서 재조명됐습니다.

류동운 열사는 1980년 5월 당시 한국신학대학교 2학년생으로, 비상계엄과 휴교령이 내려지자 광주에 있는 가족을 만나러 왔다가 항쟁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5·18 초기 계엄군에게 붙들려가 모진 가혹행위를 당하고 이틀 만에 풀려난 그는 일기장에 '병든 역사를 위해, 한 줌의 재로'라는 글을 남기고 '항쟁의 현장' 금남로로 되돌아갔습니다.

경북 포항에서 태어난 류 열사는 11살 무력 목사인 아버지를 따라 광주로 이주했습니다.

아버지의 만류에도 항쟁 마지막 순간까지 도청을 지킨 류 열사는 끝내 계엄군의 총격에 숨졌습니다.

박금희 열사는 1980년 5월 21일 광주기독병원에서 헌혈하고 귀가하다 계엄군의 총탄에 목숨을 잃었습니다.

당시 춘태여상(현 전남여상) 3학년이었던 박 열사는 '피가 필요합니다'라는 방송 차량의 호소를 듣고 기독병원에서 헌혈을 마치고 나오던 길에 희생됐습니다.

평범한 가정의 4남 4녀 중 막내딸이었던 여고생의 안타까운 죽음은 고인 시인의 연작시 '만인보'에 기록되기도 했습니다.

박 열사가 참여한 헌혈은 금남로에서 시민들이 나눠 먹던 주먹밥과 함께 '오월 공동체'와 '광주 대동정신'의 상징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류동운#박금희#5·18#44주년#열사#헌혈#재조명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