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정미경 씨 『한승원 문학 연구』 출간

작성 : 2025-02-13 09:10:25
원체험 양상 통해 작품의 '총체성' 규명
'반세기 한승원 소설' 이해 길잡이
한승원의 문학사적 위상을 확장하는 계기
"한승원 문학의 지향점은 우주적 율동과 화엄 세계"

▲ 소설가 정미경 씨와 도서 『한승원 문학 연구』

한국 문학의 거장이자 지난해 대한민국 최초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아버지인 한승원 소설가에 대한 연구서가 최근 출간됐습니다.

소설가 정미경 씨가 원로작가 한승원의 소설을 이해하는 길잡이 책 『한승원 문학 연구』(문학들 刊)를 펴냈습니다.

이 책은 통시적 차원에서 한승원 문학의 '총체성'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습니다.

1968년 <대한일보> 신춘문예 등단 이후 그의 작품은 깊은 성찰과 인간적 감동을 전하는 동시에 한국의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풍부하게 담아왔습니다.
◇ 연구자들 사이 '난공불락' 텍스트

지금까지 50여 년간 방대한 작품을 발표한 한승원의 문학세계는 연구자들 사이에서 난공불락의 텍스트로 여겨지곤 했습니다.

이에 따라 그동안의 논의는 대부분 학술지 중심의 논문으로 이뤄졌고, 주제도 '고향과 바다, 신화와 한, 샤머니즘, 생태' 등에 편중돼 있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승원의 작품 전반을 다루기보다는 주제와 관련하거나 특정 작품에만 치중하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이 때문에 한승원에 대한 작가론적 논의에 있어서도 회고담을 중심으로 하는 개괄적인 작품 소개에 그치거나 단편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어 한승원의 문학 전체를 조망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냈습니다.

저자는 한승원의 문학작품 전반을 대상으로 작가론적 입장에서 그의 원체험이 어떤 양상을 띠는가 고찰하여 한승원 문학의 '총체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했습니다.

이 책에 따르면 한승원의 원체험은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반복되는데, 중요한 것은 그것이 극복되면서 확장하는 양상을 띤다는 점입니다.
◇ 원체험, 부성과 모성의 양상으로 구분

한승원의 원체험은 아버지와 어머니라는 두 축, 부성과 모성의 양상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아버지에 대한 살부(殺父) 의식으로 드러난 원체험 양상이 이를 극복하고 승화하는 과정에서는 새로운 아버지 찾기로 확장된다면 어머니 곧 물에 대한 공포와 생명의 원체험은 우주 만물에 대한 여성성으로 확장되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한승원의 아버지 상(像)이 혈연적 부성에서 사회역사적 차원, 그러니까 인간의 억눌림과 자유의 문제를 해결할 상징적 아버지 상으로 확장된다면, 어머니 상(像)은 자궁, 곧 생과 죽음 모두를 품는 상징체로 확장됩니다.

그리고 이 두 세계는 갈등과 대립, 화해를 반복하면서 우주적 차원으로 확장됩니다.

저자는 본문에서 다음과 같이 한승원 소설의 원형성을 설명합니다.

"한승원 소설에서 아버지와 어머니로 상징되는 두 세계는 서로 대립 관계처럼 보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서로를 품는 존재들이다. 이 두 세계는 서로 공존하며 갈등과 대립, 화해를 반복하는 가운데 우주적 차원으로 확장된다. 이를 통해 작가가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 우주적 율동으로서의 생명력과 화엄 세계의 형상화이다. 작가가 말하는 우주적 율동이란 음과 양 즉 대립되는 두 세계가 서로 뒤얽힌 상태로 공존하는 것을 말한다. 한승원 소설이 원체험의 극복과 확장을 통해 도달한 지향점은 우주적 율동과 화엄 세계이다."(본문 중에서)
◇ 제3회 부마항쟁문학상 소설 부문 수상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그동안 바다와 신화, 샤머니즘 측면에서 주목되었던 한승원의 문학사적 위상을 향후 보다 확장된 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한편 저자 정미경 씨는 2004년 <광주매일신문> 신춘문예 소설 부문 당선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국립순천대학교 국어교육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소설집 『공마당』으로 2022년 아르코문학나눔에 선정되었으며 제3회 부마항쟁문학상 소설 부문을 수상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