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선호 인재상 1위 '책임감'..기업 80% "스펙 좋아도 인재상 안 맞으면 탈락"

작성 : 2025-02-20 11:33:18
▲ 자료이미지

기업이 선호하는 인재상 1위는 '책임감 있는 직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20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기업 231곳을 대상으로 '인재상 평가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곳 중 6곳(58%)이 2020년대 이전과 비교해 인재상이 변화했다고 밝혔습니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70.6%, 100~300인 미만 57.6%, 100인 미만 56.9% 등 순이었습니다.

과거에 비해 중요해진 인재상(복수응답)은 '책임감'이 31.3%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소통' 30.6%, '긍정적인 태도' 26.1%', '조직 적응력' 23.1%, '전문성' 23.1%, '성실' 20.1%, '도전' 14.9%, '배려' 14.2%, '창의' 11.9%, '열정' 11.2% 등 순이었습니다.

인재상이 변화한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선, '새로 들어오는 젊은 세대 인재의 특징이 과거와 달라서'가 50%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급변하는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26.9%, '일하는 방식 변화' 20.1%, '사회·문화적인 인식 변화' 18.7%, '인재 운영 전략 변화' 12.7%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업들은 인재상 부합 여부가 채용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습니다.

실제로 전체 응답자의 84%는 '스펙 등은 부합하지만, 인재상이 부합해 합격시킨 지원자가 있다'고 했습니다.

반대로 '스펙은 충분하지만, 인재상이 맞지 않아 탈락시킨 지원자가 있다'는 기업도 79.7%나 됐습니다.

원하는 인재상은 대부분 '실무면접'에서 파악한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70.1%(복수응답)는 '실무면접'에서, 이어 '인성면접' 37.2%, '자기소개서 내용' 26.4%, '이력서 항목 기재 내용' 23.8%, '평판 조회' 12.1% 등 순이었습니다.

기업들은 "2020년대 이전 과거에 비해 인재상 평가의 중요도가 커졌다"며 "향후 인재상 평가의 중요도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