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집중]비전문가 전기장치 장착, 화재로

작성 : 2014-02-17 20:50:50

하루가 멀다 하고 차량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CG
지난해 광주*전남에서 일어난 차량 화재는 모두 4백여 건, 매일 한 건 이상 발생하는 꼴입니다.

CG
다양한 화재 원인 가운데 차량 내부적인
요인으로는 전기장치 문제가 37%를 차지하는데요,

DVE
특히 자동차에 네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배선 작업을 잘못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경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도로를 달리던 소형버스 앞부분에서 갑자기 불길이 치솟습니다.

얼마 뒤, 차량 뒷부분으로 번지면서 시꺼먼 연기를 내뿜습니다.

지난 2일에도 주차돼 있던 2.5톤 화물차가
금세 불길에 휩싸이며 소방서 추산
천3백만 원의 재산피해를 냈습니다.

지난 한 해 광주와 전남에서 발생한 자동차 화재 407건 가운데,

CG
교통사고나 방화 등 차량 외부 문제를
제외하면, 엔진과열 등 기계적 원인이 60%, 배선 문제 등 전기적 요인이 37%를
차지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전문지식 없이 네비게이션과 블랙박스를 장착하거나 차량을 무단으로 개조하면서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탠드업-정경원
"자동차정비와 달리 네비게이션과 블랙박스 장착업체, 또 튜닝업체는 전문 자격이 필요 없기 때문에 규정 전류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문 지식이 없을 경우 규정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도록 전선을 잘못 연결하면
과열 등으로 불이 날 수 있습니다.

동호회 회원들이나 개인이 인터넷 등에서 얻은 단편적인 지식만으로 제품을
장착하거나 개조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싱크-네비게이션 장착 업체 대표/"동호회에 보면 기본적으로 퓨즈나 전기계통을 만질 수 있는 분들이 주변 친구들이나 선후배들 작업을 해주는 식이죠"

CG
시동과 관계 없이 불필요한 전원이 계속
들어오게 설치해 놓는 경우나,

선 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부식된
전선에 연료가 새 나와 불이 붙는 사례도 있습니다. //

(전화인터뷰+사진)박병일/ 자동차 명장/ "많은 장치를 달아서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면 그 장치가 가열이 되거나 합선이 돼서, 또 하나 배선에 접촉불량이 생기게 되면 부식이 되면서 불이 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거죠"

운전자의 생명, 재산과 직결돼 있는 자동차 화재.

전문가들은 반드시 전문 업체를 통해서만 차량 제품을 장착하고 부식된 전선이 없는 지 정기적으로 확인할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kbc 정경원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