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KTX 개통 후에도 광주공항의
국내선을 그대로 두는 것은 물론 노선을
늘려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광주시, 국제도시 도약에 필요>
국제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라고 하지만
국내선 이전을 통해 무안국제공항의 활성화를 기대했던 전남도가 반발하고 있습니다.
<전남도, "국내서 이전해야" 반발>
결정권을 가진 정부가
뒷짐을 지고 있는 가운데
광주공항 국내선 이전을 두고
광주시와 전남도의
해묵은 갈등이 재현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지용 기자의 보돕니다.
광주시는 KTX가 개통되면 광주-김포 간
항공수요가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고 광주공항 활성화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c.g.)광주-인천 간 정기 직항노선을
개설하고, 제주 간 노선을 증설하는 한편, 저비용 항공사 유치가 핵심입니다.
광주가 국제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 공항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를 위해 국내선이 존치해야 한다는 이유에섭니다.
인터뷰-황봉주/광주시청 교통정책과장
"대도시 인근에 공항이 꼭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전남도는 예정대로 광주공항
국내선이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국내선 이전은 국가 계획으로, KTX 개통 후 이전에 대해 시*도가 암묵적으로 동의한
사항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또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해 국내선 이전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KTX노선 건설도 앞당기는 등 전남 서남권 발전의 출발점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인터뷰-위광환/전남도청 도로교통과장
"지역발전전략에 차질이 빚어진다."
국내선 이전을 두고 해묵은 갈등을 빚고
있지만 결정권을 가진 정부는 시*도간 타협이 우선이라며 뒷짐을 지고 있습니다.
su// 광주시가 공항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면서 국내선 이전을 둘러싼 광주시와 전남도의 갈등이 재현될 것으로 보입니다. kbc정지용입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