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집중1]지방대 죽이기 구조조정?..반발

작성 : 2014-01-28 20:50:50

오늘 교육부가 대학구조개혁 추진계획을

발표했는데요.





핵심은 오는 2022년까지 3단계에 걸쳐 전국 모든 대학을 절대평가하고, 5단계 등급에 따라 대학들의 입학정원을 총 16만명까지

강제적으로 줄인다는 내용입니다.



교육부는 당장 올해부터 모든 정부 재정지원사업 평가에 이런 내용을 반영해 대학들을 압박할 예정입니다.



-지방대 구조조정 집중 우려

아직 구체적인 평가지표와 반영 비율이

나오진 않았지만

이미 해마다 학생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지역대학들은 이번 대학구조개혁이

지방대 구조조정에 집중될 것이라며 발을 구르고 있습니다.



먼저 지역 대학들의 반응을 임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오늘 발표된 구조개혁이 추진될 경우

지방대학과 전문대학들의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역대학가에서는 다섯 등급 가운데

광주전남에서 최우수 등급은 물론, 2등급인 우수 등급도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열악한 지역산업과 뗄 수 없는 취업률 등 수치상의 절대평가에서 거점국립대인

전남대조차 좋은 점수를 받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전화인터뷰-지역대학 관계자(음성 변조)

"최우수는 없을 것이고 대부분 보통일 것이다.전남대도 우수 등급 어려울 걸요."



또 43개 세부항목으로 교육의 질을

평가하는 정성평가의 도입으로 세한대나

초당대 등 최근 정부재정지원 제한대학에 연속으로 지정됐던 대학들은 직격탄을

맞을 전망입니다.



전화인터뷰-지역대학 관계자(음성변조)

"초당이나 대불, 남부 같은 대학들이 재정지원제한 벗어나려고 저연봉 교수들 엄청 뽑고했는데 그런 것이 안 통할 수 있죠 이제"



이미 입학정원이 크게 줄어든 전문대학들은 2천년대 초반 일본의 대학 구조개혁

과정에서 전문대학들이 대거 문을 닫았던 사례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또 1996년 대학설립 요건 완화이후

무려 60개 넘는 대학이 신설되면서 빚어진 정책 실패의 책임을 지역에 떠넘긴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싱크-지역 사립대학 관계자(음성변조)

"전혀 다른 여건 대학들을 하나 잣대로 무한 경쟁으로 내모는 것"



단지 지방에 대학이 있다는 이유로

피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배려와 함께 지역대학들의 뼈를 깍는

자구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c 임소영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