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I 예방적 묻지마 살처분 논란

작성 : 2014-03-27 07:30:50
AI확산을 막겠다며 발생지 인근에 대한 예방적 살처분 타당성 논란이 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전남에서 살처분된 가금류의 90% 이상이 음성으로 마땅한 대안없이 묻지마식 살처분으로 피해를 키우고 있어 농가의 반발이 거셉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지난 1월 해남 송지면의 씨오리 농장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전남에서는 73농가에서
190만 3천여 마리의 닭과 오리가 살처분
됐습니다.


이 가운데 발생지 반경 500m 이내
오염지역과 3km 이내 위험지역으로 분류돼
145만 5천여 마리가 예방적 살처분됐지만
양성은 8.8%인 12만 9천 마리에 불과합니다

결국 10마리 중 9마리 이상이 AI에
감염되지 않았는데도 묻지마식 살처분이
이뤄졌습니다.

농가 수로는 전체 51곳 중 80%가 음성으로
판명됐습니다.

방역당국이 내놓은 AI 발생대응 요령에는
반경 3km 위험지역 내 농장은 사실상 의심농가로 보고 살처분하도록 돼 있습니다.

간이 검사에서 음성이 나오더라도
향후 감염 가능성을 우려해 일단 묻자는
것인데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농가피해를 우려해 전라남도가
한때 살처분 범위를 500m이내로 축소했지만 AI가 다시 확산조짐을 보이자
결국 살처분 범위를 넓혔습니다.

인터뷰-권두석/전남도 축산정책과장
"

무차별적인 살처분에 대한 농가의 반발은 여전합니다.

자식처럼 키운 닭과 오리를 땅에 묻는 것도
가슴 아프지만 감염된 농가와 동일하게
입식이 금지돼 생계가 막히기 때문입니다.


현행 AI 피해농가 지원대책에는
최대 6개월간 매달 2백만 원 안팎의
생계안정자금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는데
마리 수에 따라 차등 지원되고 육계의
경우 석 달이 전붑니다.

보상금 지급도 산정과정이 복잡하고 경제적 피해를 고려하지 않은 마리당 시장가격을
기준으로 책정돼 예방적 살처분 농가의
억울함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전화인터뷰-영암오리협회 관계자
"그런 자금 필요 없어요. 정상적으로 출하하고 그러면 수수료 가지고도 충분히 생활할 여유가 생기는데 3km 반경에 들어갔다해서 몇 개월을 놀아야 한다는 법 규정 때문에 가장 힘들죠"
"

일단 묻고 나서 닷새 가량 감염 여부를
기다려야 하는 사후 검사도 문젭니다.

동물 전염병에 대한 확진 여부를
정부 검사기관만 할 수 있는 현행 제도를 보완해 지자체마다 검사 장비와 인력을
갖추고 감염과 비감염 농가에 대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