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bc/image/2025/02/13/kbc202502130077.800x.0.jpg)
대한적십자사(적십자사)가 헌혈 답례품으로 제공할 영화 관람권을 정상가의 3분의 1도 안 되는 금액에 대량 사들입니다.
이를 두고 영화계가 '가격 후려치기'라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13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적십자사는 지난달 22일 영화 티켓 65만 3천여 장의 판매처를 찾는 입찰 공고를 냈습니다.
배정된 예산은 32억 6천여만 원.
티켓 한 장당 5천 원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롯데시네마가 단독 응찰함에 따라 양측은 협의를 거쳐 이달 6일 장당 3,924원에 수의계약을 맺었습니다.
계약 가격은 평일 관람권 정가(1만 4천 원)의 28% 수준입니다.
CGV와 메가박스는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습니다.
적십자사는 연간 영화 관람권 130만 장을 사들여 왔습니다.
상영관으로서는 포기하기 쉽지 않은 큰손인 셈입니다.
하지만 멀티플렉스 3사 중 2사가 입찰하지 않은 것은 적십자사가 지나치게 낮은 가격을 매겨 극장 간 '제 살 깎아 먹기' 경쟁을 부추기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적십자사의 입찰 공고 당시 배정한 영화 티켓 구매 예산은 2020년 상반기부터 작년 하반기까지 한 차례를 제외하면 모두 장당 6천 원이었습니다.
영화계 관계자들은 적십자사가 예산 범위에서 제시하는 '기초 금액'이 터무니없이 낮은 것이 특히 문제라고 말합니다.
기초 금액은 입찰자가 투찰할 때 참고하는 기본 가격인데, 통상 기초 금액의 80% 수준에서 낙찰가가 형성돼 왔습니다.
2020년 상반기 5,800원이던 기초 금액은 꾸준히 줄어 지난해 상반기에는 4,500원까지 내려갔습니다.
당시 낙찰가는 3,621원으로 정가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했습니다.
극장가는 코로나19 확산 이후 영화 산업이 악화 일로를 걷는 상황에서 적십자사가 과도한 경쟁을 조장한다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낮은 티켓 가격이 제작 환경이나 콘텐츠의 질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티켓 판매 수익을 극장과 투자배급사가 나눠 가지는 구조에서 티켓 가격이 낮아지면 배급사가 새 영화 제작에 투자할 여력 역시 줄어든다는 것입니다.
이에 적십자사는 과거 입찰·계약 금액 등을 고려하고 계약 가능성을 판단해 관련 예산과 기초금액을 정했을 뿐이라는 입장입니다.
적십자사 관계자는 "국가계약법에 따라 계약을 투명하게 진행하고 있다"며 "예산 절감은 국가기관이 가져야 할 기본 기조로, 충분한 근거 없이 (티켓 구매) 예산 증액을 하기는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