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량은 늘고 생산비는 크게 줄어들어, 고령화로 어려움을 겪는 농촌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강동일 기잡니다.
모내기 준비로 분주한 농촌 들녘.
기계화가 상당부분 이뤄졌다지만
농촌은 영농철만 다가오면 일할 사람이
없어 걱정이 태산입니다.
<인터뷰> 안병태 / 보성군 보성읍
"고령화로 일할 사람 구하기도 어렵다."
이런 농촌의 어려움 속에 논에 볍씨를 직접 뿌리는 직파 재배가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새로운 직파재배법은 트랙터가
지나갈 때마다 볍씨와 영양제가 줄을 따라 가지런히 떨어지고 흙이 덮어집니다.
잡풀을 없애는 약제도 함께 뿌려집니다.
기존 흙 위에 뿌려져 취약했던 발아와
새의 먹이가 되는 피해도 줄일 수 있습니다
경우 일반 재배보다 10~ 20% 가량의 쌀을
더 생산할 수 있습니다.
육묘와 이앙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모내기보다 생산비는 22% 줄어들고
노동시간도 35% 절감 됩니다. (out)
<인터뷰>최원병/ 농협중앙회 회장
" 기존의 직파와는 다르다. 생산성 높으"
더욱이 벼 직파는 모내기를 한 벼보다
쓰러지는 피해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전남의 5월 평균 최저 기온이 벼의
싹이 나올 수 있는 13도 이상이어서 직파의 최적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농협은 생산성 높고 생산비와 노동시간이 적게드는 트랙터를 이용한 벼 직파재배법을 오는 2020년까지 전국 재배면적의 2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케이비씨 강동일입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