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곳의 수렵장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수천명의 엽사들이 사냥에 나서지만
관리인력은 부족한데다 안전규정도 허술해 인근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이동근 기자의 보돕니다.
막바지 수확이 한창인 영암 금정면의
대봉감밭입니다.
본격적인 감 수확기를 맞았지만 이곳
일대에서도 이달부터 수렵장이 개장됐습니다.
멧돼지 같은 피해를 주는 새나 짐승을
잡는다는 뜻은 이해하지만 곳곳에서
들리는 총소리에 불안감도 만만치 않습니다
인터뷰-이영대/영암 대봉감 농가
"
환경부가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넉달동안
허가한 수렵장은 전국에 21곳으로
전남에는 영암과 해남, 고흥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광범위한 수렵지역을 관리할
안전대책이 허술하다는 겁니다.
국립공원과 문화재보호구역, 군사시설 등을
금지 구역으로 지정했을뿐 정작 도로나
민가는 거리 규정없이 주의만 당부하고
있습니다.
인력도 턱없이 모자랍니다.
전남에 수렵을 신청한 엽사들이
3천8백여명인데 비해 전담 인력은
고작 22명에 불과해 사실상 관리나 감시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인터뷰-조갑수/영암군 환경보전과장
"
전남에서는 지난 5년간 수렵장 안전사고로
5명이 숨지는 등 10건의 인명피해가 났습니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탐방로가 없는
야산의 출입을 피하고 눈에 잘 띠는
밝은색 옷과 모자착용을 당부하고 있습니다.
kbc 이동근입니다.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