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집중]수 백억 원 지원, 늘리기도 어려워

작성 : 2014-06-23 20:50:50

이번 광주 시내버스 노조 파업의 표면적인 이유는 임금협상 결렬입니다.







하지만, 그 속 사정을 살펴보면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은데요.







CG1



시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는 광주 시내버스는 매년 불어나는 적자에 재정지원금도 늘어나고 있어 큰 폭의 임금 인상을 결정하기 쉽지 않습니다.







DVE) 저임금 공감, 재정부담 가중 발목







이번 파업이 해결되더라도 앞으로 임금



인상 요인이 있을 때마다 노사 간 갈등은



계속될 수 밖에 없습니다.







버스 파업의 속사정, 이형길 기자가 집중 취재했습니다.







광주 시내버스 기사의 임금은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있는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낮습니다.







CG



한 달 22일을 일한다고 가정할 때



광주의 기사들은 평균 295만 원을 받아



서울과 비교하면 65만 원, 대전과 비교하면



15만 원 가까이 적게 받고 있습니다.//







시내버스 노조는 최소한 광주 다음으로



낮은 대전 수준의 임금이라도 달라며 올해 5.29% 임금 인상안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싱크-오도종/광주지역버스노동조합 위원장



"광주시내 버스 운전기사들의 생활임금을 보장하는 합리적 수준의 임금인상이 돼야합니다."







사 측도 광주 버스기사들의 임금이



다른 시*도에 비해 적다는 것을 알지만



노조 측 요구대로 대폭 인상해 주기는 쉽지 않습니다.







버스회사가 광주시 재정지원금으로



운영되고 있어 시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스탠드업-이형길+CG



광주시가 시내버스 회사에 지원해 주는 금액은 준공영제가 실시된 첫 해 196억 원에서 2011년 300억 원을 넘어서 올해는



460억 원까지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광역 시 중 재정자립도가 최하위 수준인



광주시도 시내버스에 혈세를 더 투입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인터뷰-차영규/ 광주시 교통건설국장



"저희도 대전 수준으로 맞춰주고 싶지만 당장 그럴만한 여력이 없기때문에 순차적으로.."







시내버스 적자는 매년 불어나고



광주시의 재정지원금 부담도 늘고 있어,



임금 협상 때마다 갈등을 빚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고 교통분담률이 36%를 넘어서는



시내버스의 노선을 줄이기도 쉽지 않아



시내버스 기사들의 임금 인상 요구에 따른 갈등은 해마다 계속될 전망입니다.







kbc 이형길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