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kbc/image/2025/02/06/kbc202502060046.600x.0.jpg)
전라남도가 2월 근세부터 근대의 역사를 체험할 여행지로 목포근대역사관과 동본원사, 강진 다산초당과 영랑생가, 해남 대흥사와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영암 도갑사와 구림마을을 추천했습니다.
전남도는 올해부터 145만 구독자를 보유한 국내 최대 여행 커뮤니티 '여행에미치다' 채널을 통해 꼭 가봐야 할 여행지 4곳을 매월 선정해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선정된 목포는 개항 이후부터 당시 흔적이 있는 역사적 명소가 가득합니다.
1897개항문화거리에 근대식 가옥, 상점 등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목포근대역사관은 목포의 시작부터 근대역사까지 살펴볼 역사전시관입니다.
![](/data/kbc/image/2025/02/06/kbc202502060043.600x.0.jpg)
동본원사는 1930년대 지어진 일본 불교 사찰로 일본 목조 불당 건축양식의 건물입니다.
2010년 오거리 문화센터로 개관해 현재 문화행사, 전시 공간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강진에선 조선시대 실학과 문학적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산초당은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유배 생활을 하며 '목민심서'를 집필한 장소로 다산의 철학과 조선시대 사색 문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data/kbc/image/2025/02/06/kbc202502060044.600x.0.jpg)
영랑생가는 한국 서정시의 거장 김영랑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곳으로 이곳에는 시의 소재가 됐던 샘, 감나무, 장독대 등이 남아 있습니다.
고려청자박물관에선 고려시대 청자 생산 중심지였던 강진의 역사와 청자의 우수성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2월 22일부터 3월 3일까지 10일간 강진 청자축제도 진행될 예정입니다.
해남은 호국불교와 조선시대 양반 문화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는 지역입니다.
대흥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사찰로 아름다운 숲길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됐고, 템플스테이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data/kbc/image/2025/02/06/kbc202502060045.600x.0.jpg)
녹우당은 조선시대 문인 윤선도가 살았던 곳으로 조선시대 사대부 가문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습니다.
사랑채는 관람할 수 없고, 매주 월요일은 휴관입니다.
영암은 삼한시대부터 이어진 유서 깊은 지역으로 불교와 전통마을 문화가 잘 보존된 지역입니다.
신라 말기 창건된 사찰 도갑사는 현재도 법 등을 이어오는 유서 깊은 고찰입니다.
구림마을은 삼한시대부터 형성된 마을로 2,200여 년 역사가 스민 오래된 마을로 전통가옥, 고목나무 등이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