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일제강점기 피해 명부 공개, 피해자 기대

작성 : 2013-11-19 20:50:50
주일대사관에서 발견된 일제강점기 피해자 들의 이름과 피해 내용 등을 담은 60년전의문서가 오늘 공개됐습니다.

우리지역의 3.1운동 피살자는 81명,
강제 징용 피해자는 4만 천 여명이 넘는것으로 밝혀졌는데 그동안 근거가 없어
유공자가 되지 못했거나 피해 배상을
받지 못했던 대상자들이 대거 구제되는
계기가 될것으로 보입니다


김재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국가기록원이 주일대사관으로부터 넘겨받아 공개한 자료에는 3.1운동 피살자와 강제징용자 등 23만 명에 대한 피해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전남의 경우 3.1운동 피살자는 81명, 강제 징용 피해자는 4만 천4백여 명으로 확인됐습니다.

현재 광주전남지역에서 3.1운동과 관련해 독립유공자 신청을 한 사람은 모두 386명,

하지만 그동안 근거 자료들이 불충분해
유공자로 인정 받지 못한 경우가 많았는데
피해자 명부가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박태일/광주지방보훈청 보훈과장

22만여 명에 이르는 강제징용 피해자 명부에도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미쓰비시 여성 근로정신대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일본 기업을 상대로 한 피해 배상 소송이 진행 중인 상황.

생존자와는 다르게 사망자의 경우 유족들의 피해 입증이 쉽지 않았지만 이번 명부를 근거로 추가 소송에 나설 가능성이 큽니다.

전화인터뷰-김인성/일제피해자보상연합회 회장/"유족들이 봤을 때 내 아버지가 어디에 끌려가서 희생이 되셨구나, 이렇게 (확인)하게 되면 미쓰비시를 상대로 소송하는데 상당한 효력이 발생할 수 있죠"

국가기록원은 앞으로 관련 자료를 국가보훈처 등에 제공해 독립유공자 선정과 과거사 증빙 자료로 적극 활용할 방침입니다.

강제동원과 독립운동 관련 자료가 추가로 발견된 만큼 정부 차원에서 피해자나 유족들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책이 재정비되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KBC 김재현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