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구조작업 정부*민간 엇박자

작성 : 2014-04-25 20:50:50

세월호 침몰사고의 실종자 수색*구조작업을 둘러싸고 정부와 민간구조단이 곳곳에서

크고 작은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



구조작업에 나섰던 민간 잠수사들 상당수는

철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효성기자가 보도합니다.





수백 명이 침몰 여객선에 갇혀 있는

절체절명의 순간



하지만, 구조작업은 사고 발생 15시간이

지난 후에야 시작됐습니다.



게다가 1분 1초의 촌각을 다투는

구조작업은 시작부터 삐걱렸습니다.



민간잠수사들은 구조작업 첫 날부터

사고선박에 제대로 접근조차 못했다고

분통을 터뜨렸습니다.



인터뷰-윤구환 민간잠수사



일부 민간잠수사들은 자비를 들여

바지선까지 동원했으나, 해경의 참여허가를 받지 못했습니다.



합동구조를 위한 지휘나 지원체계도

없었습니다.



인터뷰-민간잠수사



이에 대해 구조당국은 기존 구조작업에

방해가 돼 민간의 참여를 제한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인터뷰-고명석 범정부사고대책본부 대변인



이렇게 엇박자가 계속되자

한때 3백 명이 넘었던 민간 잠수사들은

대부분 철수하고 현재 팽목항에는

20~30명만 남아 있는 상황입니다.



희생자 수색방식이나 장비사용을 놓고도

혼란과 마찰을 빚었습니다.



현재 수색작업에 투입되는 일명 머구리식 수색방식도 초기부터 민간잠수사들이 제안했으나, 묵살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경은 또, 민간이 제시한 4인용 잠수용

엘리베이터 다이빙벨 사용에 대해 처음에

안전문제로 거부했으나 강원도 한 대학에서 그보다 용량이 적은 다이빙벨을 몰래 빌린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KBC 김효성입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