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 문 더 좁아진다"..올해 대기업 절반만 채용 확정

작성 : 2025-02-11 17:05:11
▲ 자료이미지 

올해 채용 계획을 확정 지은 기업이 10곳 중 6.5곳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최근 3년간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HR테크기업 인크루트가 지난달 9일~지난 3일 국내 기업 897곳(대기업 100곳·중견기업 131곳·중소기업 666곳)을 대상으로 올해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65.6%만 채용 계획을 확정했다고 답했습니다.

2023년 79.3%, 2024년 71.3% 등 최근 3년 동안 감소세입니다.

확실한 채용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39.9%였고, 채용할 가능성이 높고 세부적으로 준비 중이라고 답한 기업은 25.6%였습니다.

채용 계획을 확정한 기업 비율을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54.0%, 중견기업 66.4%, 중소기업 67.1%였습니다.

지난해 조사(대기업 67.0%, 중견기업 73.9%, 중소기업 71.3%)와 비교하면 모든 기업에서 채용 확정 비율이 감소했습니다.

특히 채용 계획을 확정한 대기업은 전년 대비 13.0%p 하락해 기업 규모 중 가장 큰 하락률을 보였습니다.

올해 채용 계획을 확정한 기업을 상대로 채용 방식(중복 응답)을 조사한 결과 경력직 수시 채용(72.4%)이 가장 많았고, 이어 대졸 수시 채용(68.5%), 대졸 정기 공채(23.0%), 대졸 인턴(9.5%) 순이었습니다.

대기업의 경우 경력직 수시 채용 방식(64.8%)이 전년 대비 27.5%p 상승했습니다.

반면 대졸 정기 공채(46.3%)는 19.8%p 감소했고, 대졸 수시 채용(50.0%)도 5.9%p 감소했습니다.

▲ 기업 채용 계획 조사 [연합뉴스] 

이에 따라 대기업 경력 취업의 문은 넓어지지만, 신입 구직자들의 기회는 크게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견기업에서는 경력직 수시 채용 방식(71.3%)과 대졸 정기 공채(48.3%)가 각각 지난해보다 13.7%p, 9.9%p 상승했습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경력직 수시 채용 방식(73.6%)이 가장 높았고, 대졸 수시 채용(69.1%)도 지난해에 비해 8.2%p 증가했습니다.

확실한 채용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에 채용 규모를 물어본 결과 한 자릿수 채용이 76.8%로 가장 많았고, 두 자릿수 채용 22.1%, 세 자릿수 채용 1.1%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조사와 비교하면 한 자릿수 채용(76.8%)이 11.2%p 늘어나고, 두 자릿수 채용(22.1%)은 10.9%p 감소한 만큼 전반적인 채용 규모의 감소가 전망됩니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 한 자릿수 채용이 51.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세 자릿수 채용 비율은 0%였습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많이 본 기사

랭킹뉴스